티스토리 뷰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는 방법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인 국민연금은 국민 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냈던 보험료를 나중에 나이가 들거나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애가 생기거나 생을 마감하여 소득활동이 중단됐을 경우 본인 또는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하여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죠.

 

가입은 법적으로 의무화 되어 있어 직장인이라면 꼼짝없이 월급에서 일정 금액을 내어 줘야합니다. 적용 대상은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하고 있는 국민으로 보험료율은 기준월소득액으로 근로자, 사업주 모두 동일하게 4.5%이고 보통 만 60세의 나이가 넘어갔을 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020/11/16 - [분류 전체보기] - 국민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 수령 나이 노후대비 잘하고 계신가요? 초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요즘, 노후생활 준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노후대비 중 가장 기본적인 국민연금은 국민 2,100만 명이 가입 중일

tip.estapus.com

 

최소 10년의 긴 납부 기간동안 본인이 지금까지 납부한 금액을 확인하고 싶은 순간이 오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본인의 납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예상 연금액 조회도 할 수 있습니다.

 

 

재미로 국민연금의 각종 통계도 적어보겠습니다.

 

NPS 내연금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는 국민연금공단 공식 사이트가 아닌 내연금 사이트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포털 사이트에 '내연금'으로 검색하면 NPS 내연금 국민연금 노후준비서비스 사이트가 나옵니다.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가 나옵니다. 이 사이트를 통해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 NPS 내연금 국민연금 노후준비서비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csa.nps.or.kr/main.do

 

NPS내연금(국민연금 노후준비서비스)

자가진단 재무, 건강, 취업, 여가, 대인관계 등 나의 삶의 가치측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csa.nps.or.kr

 

NPS내연금 사이트를 통해 납부액 조회와 예상연금액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NPS내연금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있는 내연금 알아보기 메뉴로 들어갑니다. 내연금 알아보기 오른쪽 + 아이콘이나 하단의 부연설명 글씨를 클릭하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국민연금 알아보기 하위 메뉴인 가입내역조회로 들어가시면 되는대요. 공인인증서를 이용해 로그인 해주셔야 합니다.

 

[NPS내연금 홈페이지 접속] [내연금 알아보기 클릭] [국민연금 알아보기 클릭]  [가입내역조회 클릭]

 

 

가입내역조회 메뉴로 들어가면 보험료 총 납부내역 및 기간별 상세내역이 나옵니다. 보험료 납부내역은 공단 전산에 반영된 날 (납부후 최장 4일 경과 후 반영) 기준이며, 총 납부내역에는 반환일시금 월수와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총 납부내역

먼저 총 납부내역이 나오는대요. 총 가입 월수와 금액이 나옵니다. 그리고 연금보험료 중 납부한 자료와 납부하지 않은 자료, 납부할 수 없는 자료가 나옵니다. 납부하지 않은 연금보험료는 보통 사업주가 내지 않은 경우입니다. 이건 결국엔 사업주가 책임지게 되는 부분입니다.

 

다만, 사업장에서 납부하지 않은 기간만큼 납부기간으로 인정받지 못합니다. 사업주가 냈어야 할 50%의 보험료를 내야 인정이 됩니다. 개인이 따로 조치할 수 있는 건 없습니다.

 

저도 2개월분이 납부되지 않았는대요. 현재 재직중인 회사입니다. 내지 않을건지, 납입예정인건지는 좀 더 지켜보고 기간이 길어지면 회사와 대화가 필요하게 되겠죠. 납부예정이길 바랍니다.

 

 

밑에도 다양한 지급, 납부 내역이 있는대요. 국민연금 제도와 관련된 사항들입니다.

 

[일시금]

60세가 되면 받을 수 있는 노령연금을 받으려면 가입기간이 최소 10년(120개월)이 되야하는데, 연금수급연령이 되어도 가입기간이 부족하여 연금으로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60세 이후 반환일시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반납금]

반환일시금을 지급받은 사람이 다시 가입자 자격을 취득한 때에 이미 지급받은 반환일시금에 소정의 이자를 가산하여 납부하는 금액을 반납금이라고 합니다.

 

[추납보험료]

국민연금 가입 중에 실직 등으로 연금보험료를 납부할 수 없었던 기간을 납부예외 기간으로 치는대요. 추후 연금보험료 납부능력이 생겼을 때 연금보험료를 납부함으로써 가입기간을 늘려 연금수급권 확대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실업크레딧]

구직급여 수급자에게 국민연금 보험료의 75%를 지원하고 해당기간을 국민연금 가입기간으로 산입하여 향후 국민연금 수급액 상향 조정을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실업크레딧 신청자는 국민연금보험료의 75%(국민연금기금 25%, 고용보험기금 25%, 일반회계 25%)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보험료 상세내역

두 번째로 연금보험료 상세내역을 보실 수 있는대요. 재직 기간별로 나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내역을 통해 내가 한 직장에서 얼마나 일했고, 이직을 얼마나 했는지도 파악이 가능합니다.

 

 

기타상세내역, 예상연금월액

다음으로 기타 상세내역이 나옵니다. 기타 상세내역에 내용이 있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여기에 어떤 내용이 나오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마지막으로 노령연금을 지급받기까지의 예상연금액과, 가입기간, 보험료가 나옵니다.

 

저같은 경우는 총 예상가입기간이 37년인데 37년동안 납부해서 매월 74만 5천원이면 보험료 납입액을 높이는 걸 고려해봐야겠습니다. 예상연금액을 통해 예상납부보험료를 뽑는 기간은 7년 7개월 정도 되네요.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는 여기까지입니다. 현재 화면출력도 가능하니, 필요하신 분은 출력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예상연금액은 예상연금조회 메뉴를 통해 물가와 소득상승율을 반영해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 조회

NPS 내연금 홈페이지 예상연금조회 메뉴로 이동해주세요.

 

[NPS내연금 홈페이지] [재무설계]  [국민연금 알아보기]

 

 

국민연금 알아보기의 예상연금조회 메뉴인대요. 하위 메뉴의 첫번째에 있기 때문에 국민연금 알아보기로 들어가면 바로 예상연금조회 페이지가 나옵니다.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세전 예상 노령연금액이 나옵니다. 현재가치와 미래가치로 나뉘는대요. 미래가치는 최근 5년간 전체가입자의 소득상승률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가입자개인소득 상승률을 직접 기입해 재계산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포텐셜을 넣어서 계산해보세요.

 

 

재미로 보는 국민연금 통계

 

2020년 05월 기준입니다.

 

전국 국민연금 급여지급 통계

수급자 - 5,066,230명

지급액 - 2조223억 원

1인당 월 지급액 평균 - 479,408원

 

전국 국민연금 수급자 추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연간 35만 명 정도가 늘어나는데 절반 이상이 줄어드는 구간이 나오네요. 17년에서 18년은 12만 명 정도가 늘었습니다. 19년에서 올해 20년도 현재 10만 명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국민연금 급여종류별 최고 연금액

급여종류별로 국민연금을 제일 많이 받는 분들의 매달 지급액입니다.

 

 

최고 누적 수령액

현재까지 받은 연금액 중 제일 많이 받은 분들입니다. 어마어마하네요.

 

최고령 수급자의 나이

 

최장기 수급기간

 

 

국민연금으로 노후준비 든든하게 잘 하시기 바라며,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왼쪽 하단의 하트 한 번씩 누르셔도 되구요.

댓글